메뉴 펼치기닫기

HOME > 아카이브 > 미디어 허브

미디어 허브

네이버클라우드, 올해 연매출 목표는 4000억... 일본·동남아서 'TOP3' 노려 (2021.09.16)

  • 작성자 : 시스템 관리자
  • 작성일 : 2022.12.19
  • 조회 : 999

네이버클라우드,%20올해%20연매출%20목표는%204000억...%20일본·동남아서%20'TOP3'%20노려


네이버클라우드는 16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밋업 행사에서 '국내 유일의 내재화된 원천기술'과 '하이퍼스케일급 투자'로 국내 사업자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며 국내 시장에서 톱 2 자리를 굳히고 이를 기반으로 APJ(아시아 태평양 및 일본) 시장에서 톱 3 사업자로 자리매김해나가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2017년 클라우드 사업을 본격화한 네이버클라우드는 4년 만에 상품 및 기술 경쟁력에서 글로벌 사업자와 견줄 수 있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4년 전 22개의 상품으로 시작했던 네이버클라우드는 현재 제품 포트폴리오를 8배 이상 확대해 18개 카테고리, 189개의 상품 라인업을 갖췄다.

네이버클라우드가 글로벌 사업자와 라인업뿐 아니라 기술 면에서도 대등한 경쟁력을 갖게 된 것은 단순히 상품 수 증가에만 집중하지 않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품군을 갖추기 위해 기술 개발을 거듭한 결과로, 이를 통해 네이버클라우드는 고객이 처한 어떤 상황에도 구성 가능한, 가장 확장성이 높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네이버클라우드의 매출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해, 지난 2020년에는 2737억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 대비 41%의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29.3%) 및 국내(18.7%)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성장률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올해는 연간 약 46% 성장한 약 4000억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태창 네이버클라우드 사업총괄 전무는 "네이버클라우드의 핵심 가치는 검색, 쇼핑, 메신저, 동영상, 게임 등 인터넷상에서 가능한 거의 모든 서비스를 직접 개발 및 운영하며 쌓아온 네이버의 다양한 기술과 비즈니스 노하우를 네이버클라우드의 솔루션에 접목해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어떤 산업군의 고객이라도 최고 수준의 IT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네이버의 고도화된 기술과 노하우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현재 네이버클라우드의 고객사(법인 계정 기준)는 5만 곳 이상이며, 국내 100대 기업 중 55%가 네이버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클라우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공공 분야의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며 국내 대표 사업자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최근 백신 예약 시스템에 발생한 접속 오류를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해 해결했으며, 코로나 초기에는 확진자 정보와 공적 마스크 판매 현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의 전 상품을 무료로 지원하고 네이버 지도 API를 무제한으로 제공하기도 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자체적으로 개발한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서비스형 인프라(IaaS)를 포함해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PaaS),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까지 보유해 고객이 원하는 형태로 직접 상품을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는 풍부한 데이터와 기술역량을 바탕으로 ▲5세대 이동통신(5G)와 연계한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서비스형 로봇(Robot as a Service, RaaS) ▲동형암호 등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기술과 솔루션을 준비하고 있다. 여기에 네이버 자체 초대규모 AI인 '하이퍼클로바' 또한 다양한 서비스로의 적용을 확대해 가고 있어 기업고객들은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의 상품을 통해 초대규모 AI 기술을 자사의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술적인 투자는 물론, 3배 이상의 인력 확충 및 세계 최고 수준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확보를 위한 친환경 데이터센터 '각 세종' 구축 등 대규모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다.

장범식 리더는 "2023년까지 연 매출의 80%를 기술 및 인력에 투자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시장 톱2, 일본과 동남아 지역에서 톱3 사업자로 확고히 자리매김해 글로벌 강자로서의 보폭을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