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실리콘 밸리와 판교테크노밸리 현안 공유 위한 '온라인 밋업' 성료 (2021.08.26)

  • 작성자 : 시스템 관리자
  • 작성일 : 2022.12.19
  • 조회 : 1289

경기도가 판교테크노밸리의 가치와 기업 현황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지난 24일 화상회의를 통해 미국 Ubergizmo의 편집장 겸 창업자 휴버트(Hubert Nguyen)와 '온라인 밋업(Online Meet Up)'을 진행했다.

'온라인 밋업'은 판교테크노밸리 홍보사업의 하나로, 매달 판교테크노밸리 기업의 주요 쟁점을 세계의 창업 클러스터들과 온라인으로 의견을 나누는 행사다.

%20%202021%20Pangyo%20Monthly%20Online%20Meet%20Up%20'PANGYO%20(Korea)%20X%20Silicon%20Valley%20(USA)'


2021 Pangyo Monthly Online Meet Up 'PANGYO (Korea) X
Silicon Valley (USA)'


특히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이 이날 미국의 컨슈머테크 미디어 채널인 '우버기즈모(Ubergizmo)'와 함께 실리콘밸리의 현황에 대해 이야기했다.

실리콘밸리는 전 세계 창업클러스터의 원조라고 불리는 곳이다.  1971년, <일렉트로닉뉴스> 돈 호플러라는 기자가 처음으로 '실리콘밸리'라는 말을 기사에 사용했다. 이후 실리콘밸리는 산호세를 중심으로 테크기업들이 많은 팔로알토, 산타클라라, 마운틴뷰, 서니베일 등의 지역의 통칭이 됐다. 애플, 구글, 야후, 넷플릭스, 시스코, 트위터, 페이스북 등 미국의 글로벌 공룡 기업들은 대부분 이곳에서 시작됐다.

실리콘밸리에서 스타트업을 열심히 키워 상장시키거나 매각하는 방식으로 큰돈을 번 창업자들은 이 돈으로 다른 창업자에게 재투자하거나 새로운 스타트업을 시작한다. 이런 사람들을 '연쇄창업자(Serial Entrepreneur)'라 부른다. 페이팔의 공동창업자로서 많은 부를 축적했지만 테슬라, 스페이스X 등을 창업해 더 큰 도전을 하고 있는 일론 머스크가 대표적이다.

판교테크노밸리의%20소식을%20전하는%20알렉스

판교테크노밸리의 소식을 전하는 알렉스(Alex msigrist )


판교테크노밸리 진행자인 알렉스(Alex msigrist)는 카카오, 네이버, 넥슨 등 판교 주요 기업들의 소식을 전했다.

- 'SK바이오 백신 임상 3 승인…  "전방위 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임상 3상 시험계획을 승인했다.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내년 상반기 국산 1호 백신이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 '링크국내 상장카카오 '클레이' 맞짱

네이버 계열 라인이 발행한 암호화폐 '링크'가 국내 거래소에 첫 상장된다. 카카오가 만든 암호화폐 '클레이'가 이미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는 상황에서 두 회사 코인의 '맞대결'이 관심을 모은다.

-"카카오 김범수이재용 제치고 한국 최고부자 등극"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55) 의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제치고 한국 최고 부자에 등극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블룸버그 억만장자지수에 따르면 김 의장은 134억 달러(약 15조 4천억 원)의 순자산으로 121억 달러(약 13조 9천억 원)의 이 부회장을 제치고 국내 1위에 올랐다.

실리콘밸리의%20최신기술들에%20대해%20설명하는%20휴버트(Hubert%20Nguyen)

실리콘밸리의 최신기술들에 대해 설명하는 휴버트(Hubert Nguyen)


미국 컨슈머테크 미디어 '우버기즈모(Ubergizmo)'의 편집장 휴버트(Hubert Nguyen)는 실리콘밸리의 기술들을 통해 AI 그리고 우주 분야의 최신 기술들을 소개했다.

-AI 레이저가 만나 화학약품 없이 제초기술 탄생

카본로보틱스가  AI기술로 잡초를 식별한 뒤 고출력 레이저로 파괴하는 스마트 파밍 로봇 오토노믹 위더 3세대를 공개했다.

자율제초기는 토양과 물을 어떤 악영향도 없고, 사람이 직접 잡초를 제거하는 수고스러움 없이 자율적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매우 효율적인 제초 수단이다.

-빠른 학습능력으로 생산과정의 변수에 대응하는 자동생산 AI 로봇

단순노동으로 돌아가는 공장의 경우 노동자보다 산업용 로봇이 더 효율적이다. 하지만 산업용 로봇은 작은 변화에도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훈련이나 프로그래밍이 필요하고 환경을 엄격하게 통제해야 한다.

실리콘밸리의 기업들은 로봇이 여러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로봇에 접목가능한 AI들을 개발 중에 있다. 스스로 학습하는 AI를 통해 각종 오류를 수정하고 개선해 노동자들이 부품을 꺼내 조립 라인에 올려놓고 조립하는 과정들을 미래에는 로봇이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을것이다.

-내년까지 지구 전 지역에서 스타링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로켓을 한번 발사할 때마다 60기의 통신 위성을 쏘아 올리고 있으며, 지난해 10월 1000여 개의 위성을 이용해 미국 북부와 캐나다, 영국에서 스타링크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스페이스X는 이달 초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스타링크 베타 서비스 이용자가 3개월 만에 1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구축에 모두 1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예정이며, 위성 인터넷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 연간 300억 달러의 매출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는 7월 프랑스, 8월 중국과 현황 공유에 이어 마지막으로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창업 정보를 공유했다. 온라인 밋업 영상은 판교테크노밸리 유튜브 채널(Pangyo Techno Valley)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첨부파일

확인

아니오